나무자료
글쓴이:
조회수: 5404
2006-06-16
지역별 나무심는 기간
산림청에서는 최근 지구온난화 등으로 2∼3월의 평균기온이 상승함으로써 나무심는 시기를 앞
당겨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3. 1부터 4. 30일까지 2개월간을 나무심기기간으로 하여 남부지역(제
주, 전남, 경남)에서는 3월 1일 ~ 4월 10일, 중부지역(충·남북, 전북, 경북)은 3월 10일 ~ 4월 20
일, 북부지역(서울, 경기, 강원)은 3월 20일 ~ 4월 30일을 나무심기의 적합한 기간으로 권장하
고 있다.
지역별 수종선택
각 가정에 심을 나무로는 정원이 있는 가정에서는 사시사철 즐길 수 있는 대추, 감, 모과, 살구,
자두, 앵두나무 등의 열매가 열리는 유실수와 단풍나무, 구상나무, 느티나무, 자귀나무, 배롱나
무, 주목, 둥근 소나무, 황금측백, 회양목, 사철나무 등 잎을 보는 관상수 그리고 장미, 철쭉, 라
일락, 매화, 목련, 영산홍 등의 꽃나무류가 적당하다.
아파트의 경우 너무 크게 자라거나 사후관리가 어려운 나무는 피하고 철쭉, 매화, 자산홍, 동백
등의 자그마한 꽃나무류를 선택하여 화분에 심어 베란다에 내 놓거나 또는 꽃사과, 소사나무, 서
어나무, 노각나무, 단풍나무, 해송, 진백 등 분재로 키울 수 있는 것도 적당하다. 단지 외곽의 도
로변 녹지대 및 공한지에는 경관조성 및 차광·방음효과을 높일 수 있도록 교목의 녹음수 위주로
선정한다.
기관, 단체, 회사, 학교의 경우 기관 등의 정원에 나무심기를 할 경우는 가급적 장수성 향토수종
을 선정하되 경관미를 감안하여 꽃나무와 열매관상수 등을 섞어 심어 먼 훗날까지 길이 보존될
수 있도록 하며, 학교에서는 다양한 꽃나무, 유실수, 열매관상수, 특용수, 녹음수등을 심어 학생
들에 대한 정서함양 및 자연학습에도 도움이 되도록 한다.
농촌마을권의 경우 마을 진입로변 및 공한지에는 적지를 감안한 유실수, 속성수, 특용수등 수종
을 선정하여 전체적으로 아름답고 정감 넘치는 마을경관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되 농촌소득과
연계될 수 있는 수종을 선택한다.
용도별 수종선택
도시지역의 경관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나무
수형이 아름다운 나무 : 주목, 소나무, 반송, 느티나무 등
그늘이 많이 생기는 나무 : 느티나무, 벚나무류, 팽나무 등
꽃이 아름다운 나무 : 산딸나무, 벚나무류, 이팝나무, 조팝나무류, 자귀나무, 귀룽나무, 마가목 ,
배롱나무, 해당화, 노각나무 등
울타리로 만들 수 있는 나무 : 쥐똥나무, 회양목, 사철나무, 탱자나무, 향나무, 측백, 서양측백,
피라칸사, 주목 등
대기오염에 강한 나무 : 은행나무, 향나무, 때죽나무, 가중나무, 팥배나무, 버즘나무(플라타나
스)
야생동물을 위한 나무
조류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관목류 : 작살나무, 찔레, 산철쭉, 병꽃나무, 고광나무, 말발도리, 산
딸기류 등
먹이가 될 수 있는 유실수 : 감나무, 개살구, 쉬나무, 팥배나무, 마가목, 작살나무, 해당화, 찔레,
산사나무, 산딸기류 등
선산(先山)에 심기 적합한 나무
배롱나무, 철쭉류, 회양목, 나무수국, 황금측백, 둥근향나무, 주목 등
물가에 심기 적합한 나무
습지에 잘 사는 나무 : 낙우송, 메타세콰이어, 버드나무류 등
수질정화 기능이 좋은 나무 : 포플러류 등
기념식수에 적합한 나무
느티나무, 주목, 소나무, 회화나무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