식재권장 수종
글쓴이:
조회수: 6094
2006-06-16
식재 권장하는 나무
지역·장소별 수종선택
조림수종을 선정할 때는 그 지방의 특색과 환경에 맞고 종실, 수액, 용재 등 앞으로의 경영목적
에 맞는 수종을 선택해야 한다.
조경수는 수목의 형태나 특성을 잘 알아서 수형, 성질, 용도, 관상적인 특징 등을 고려하여 선택
해야 한다.
한편 노동력이 적게 들고 식재 후 제초관리에 손쉬운 방법을 택하려면 1년생 묘를 식재하지 말
고 활엽수는 2~3년생 묘목으로 키가 1~2m, 침엽수는 2~3년생 묘목으로 30~50cm이상의 묘목
을 식재하는 것이 유리하다
특용수는 열매도 따먹으면서 특산품(향료, 차류, 한약재, 향토술)을 개발하는 데 좋은 원료가 될
수 있는 수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.
각 가정에 심을 나무로는 정원이 있는 가정에서는
사시사철 즐길 수 있는 대추, 감, 모과, 살구, 자두, 앵두나무 등의 열매가 열리는 유실수
단풍나무, 구상나무, 느티나무, 자귀나무, 배롱나무, 주목, 둥근 소나무, 황금측백, 회양목, 사철
나무 등 잎을 보는 관상수
장미, 철쭉, 라일락, 매화, 목련, 영산홍 등의 꽃나무류가 적당하다.
아파트의 경우
너무 크게 자라거나 사후관리가 어려운 나무는 피하고 철쭉, 매화, 자산홍, 동백 등의 자그마한
꽃나무류를 선택하여 화분에 심어 베란다에 내 놓거나 또는 꽃사과, 소사나무, 서어나무, 노각나
무, 단풍나무, 해송, 진백 등 분재로 키울 수 있는 것도 적당하다.
단지 외곽의 도로변 녹지대 및 공한지에는 경관조성 및 차광·방음효과을 높일 수 있도록 교목의
녹음수 위주로 선정한다.
기관, 단체, 회사, 학교의 경우 기관 등의 정원에 나무심기를 할 경우는
가급적 장수성 향토수종을 선정하되 경관미를 감안하여 꽃나무와 열매관상수 등을 섞어 심어
먼 훗날까지 길이 보존될 수 있도록 하며, 학교에서는 다양한 꽃나무, 유실수, 열매관상수, 특용
수, 녹음수등을 심어 학생들에 대한 정서함양 및 자연학습에도 도움이 되도록 한다.
농촌마을권의 경우
마을 진입로변 및 공한지에는 적지를 감안한 유실수, 속성수, 특용수등 수종을 선정하여 전체적
으로 아름답고 정감 넘치는 마을경관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되 농촌소득과 연계될 수 있는 수종
을 선택한다.
꽃나무
교목(키 큰나무):벚나무, 꽃사과, 목련, 모과나무, 이팝나무, 살구나무, 모감주나무 등
관목(키작은나무):개나리, 철쭉류, 명자꽃, 박태기나무, 병꽃나무, 수국류, 수수꽃다리, 진달래,
해당화, 꽃말발도리, 조팝나무, 자귀나무, 배롱나무, 개쉬땅나무, 작약, 목단 등
열매 관상수
교목: 꽃사과, 산딸나무, 마가목, 산사나무, 산수유, 사철나무, 팥배나무, 야광나무, 모감주나무
등
관목 : 낙상홍, 매자나무, 작살나무, 화살나무, 왕보리수, 앵두나무, 백당나무, 산머루, 나무딸기
(복분자), 괴불나무 등
유실과수 : 매실나무, 감나무, 모과나무, 개암나무, 대추나무, 감귤나무, 유자나무 등
단풍수종 : 복자기, 은행나무, 단풍나무류, 감나무등
녹음수종
교목:느티나무, 느릅나무, 목백합(튜립나무), 메타세쿼이아, 낙우송, 계수나무, 단풍나무류, 자작
나무, 층층나무, 칠엽수(마로니에), 은행나무, 버즘나무, 회화나무, 참나무류, 때죽나무 등
관목:쥐똥나무, 옥향, 눈향나무, 사철나무, 회양목, 꽝꽝나무, 사철나무, 회양목 등
조림수종
장기수 : 잣나무, 낙엽송, 리기테다, 강송, 삼나무, 편백, 화백, 참나무류, 자작나무류, 물푸레나
무, 느티나무 등
속성수 : 이태리 포플러, 양황철, 오동나무, 아까시나무 등
유실수 : 밤나무, 호도나무, 은행나무, 대추나무등.
특용수 : 두충나무, 닥나무, 후박나무, 오갈피나무, 헛개나무, 옻나무, 두릅나무, 산초나무, 밀원
수종, 지피식물 등